1 |
태백산맥 :조정래 대하소설 .1-10 |
조정래 |
해냄 |
2015 |
5 |
2 |
민족의 사진첩 . 1 - 4 |
최석로 |
서문당 |
2005 |
4 |
3 |
안녕, 모란 |
국립고궁박물관 |
국립고궁박물관 |
2021 |
2 |
4 |
남해안별신굿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1998 |
2 |
5 |
좌수영어방놀이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5 |
2 |
6 |
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 |
국립중앙박물관 |
국립중앙박물관 |
2021 |
1 |
7 |
전통건축에 쓰이는 우리 목재 = Wood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|
이정연 |
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|
2021 |
1 |
8 |
소비의 사회 : 그 신화와 구조 |
보드리야르, 장 |
문예 |
2004 |
1 |
9 |
우리들의 길상문 : 나전 문양을 중심으로 |
신승우 |
태학원 |
2006 |
1 |
10 |
쉽게 만드는 매듭 소품 : 공작부인이 공작한 공작 |
김윤정 |
아이생각 |
2021 |
1 |
11 |
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 |
임미선 |
민속원 |
2012 |
1 |
12 |
민속무용 연구의 한 단면 |
강인숙 |
민속원 |
2018 |
1 |
13 |
(2021) 전승공예품은행 : 홍보책자 |
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|
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|
2020 |
1 |
14 |
마을숲 : 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= Maeulsup, the Korean village grove |
김학범 |
悅話堂 |
1994 |
1 |
15 |
(완역 정본) 택리지 : 이중환, 조선 팔도 살 만한 땅을 찾아 누비다 |
안현 |
후마니타스 |
2018 |
1 |
16 |
(설민석의) 무도 한국사 특강 :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면 기념판 |
설민석 |
휴먼큐브 |
2017 |
1 |
17 |
아무튼, 술 |
김혼비 |
제철소 |
2019 |
1 |
18 |
오늘 밤은 굶고 자야지 : 박상영 에세이 |
박상영 |
한겨레출판 |
2020 |
1 |
19 |
다름 아닌 사랑과 자유 |
김하나 |
문학동네 |
2019 |
1 |
20 |
프로파간다 : 대중 심리를 조종하는 선전 전략 |
Bernays, Edward |
공존 |
2012 |
1 |
21 |
엘리트가 버린 사람들 : 그들이 진보에 투표하지 않는 이유 |
굿하트, 데이비드 |
원더박스 |
2019 |
1 |
22 |
고수의 보고법 : 상사의 마음을 얻는 보고의 기술 |
박종필 |
옥당 |
2020 |
1 |
23 |
혼자가 혼자에게 : 이병률 산문집 |
이병률 |
달 |
2019 |
1 |
24 |
인생은 이상하게 흐른다 : 박연준 산문집 |
박연준 |
달(달 출판사) |
2019 |
1 |
25 |
녹색 유약, 녹유 = green-glazed pottery and tiles of korea |
국립익산박물관 |
국립익산박물관 |
2020 |
1 |
26 |
한의약,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: 민간의료 . Ⅰ |
|
국립무형유산원 |
|
1 |
27 |
기산 풍속화에서 민속을 찾다 |
국립민속박물관 |
국립민속박물관 |
2020 |
1 |
28 |
색을 입히고 수를 놓다 =Empower with Colors Inspire with Embroidery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9 |
1 |
29 |
(업그레이드) 먼나라 이웃나라 :시즌1 .12 미국 3 - 대통령 편 |
이원복 |
김영사 |
2018 |
1 |
30 |
(업그레이드) 먼나라 이웃나라 :시즌1 .11 미국 2 - 역사 편 |
이원복 |
김영사 |
2018 |
1 |
31 |
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 :야매 득도 에세이 |
하완 |
웅진지식하우스 |
2019 |
1 |
32 |
(이이화 역사 할아버지가 들려주는) 도깨비 이야기 |
이이화 |
파랑새 |
2010 |
1 |
33 |
향기조차 짙었어라 :여성농악예인구술집 |
권은영 |
민속원 |
2018 |
1 |
34 |
(온양민속박물관 도록)우리 민속 오백년의 모습 |
온양민속박물관 |
온양민속박물관 |
2005 |
1 |
35 |
국악박물관 |
국립국악원 |
국립국악원 |
2019 |
1 |
36 |
(역사멘토 최태성의) 한국사 전근대편: 소통하는 한국사 |
최태성 |
푸른들녘 |
2018 |
1 |
37 |
금산 역사의 길이 열리다 :금산역사문화박물관 상설전시도록 =Geumsan History and Culture Meseum |
금산역사문화박물관 |
금산역사문화박물관 |
2018 |
1 |
38 |
강릉의 무형문화유산 :지역 무형문화유산 목록 .5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8 |
1 |
39 |
韓國 無形文化財政策 硏究 :重要無形文化財를 中心으로 =(A)study on the policy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: based on the ma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|
이장렬 |
高麗大學校 |
2005 |
1 |
40 |
무형문화재의 이해 :장인과 전통공예기술 |
장경희 |
솔과학 |
2018 |
1 |
41 |
(임원경제지) 유예지 :遊藝志 .2 교양 기예 백과사전 =林園經濟志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7 |
1 |
42 |
(임원경제지) 유예지 :遊藝志 .1 =林園經濟志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7 |
1 |
43 |
(임원경제지) 유예지 :遊藝志 .3 =林園經濟志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7 |
1 |
44 |
대나무 생활용품전 :광복 50주년 기념 =Special Exhibition on Bamboo Commodities |
|
광주민속박물관 |
1995 |
1 |
45 |
장인의 손길, 일상을 꾸미다 =Decorative Art In Daily Lives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8 |
1 |
46 |
강릉의 무형문화유산 |
강릉시 문화관광복지국 |
강릉시 문화관광복지국 |
2004 |
1 |
47 |
무형유산 = Korean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6 |
1 |
48 |
(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)이윤란 :12잡가, 참 쉽고도 어렵지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7 |
1 |
49 |
유럽 도자기 여행 :동유럽 편 =Ceramics travel of Eastern Europe |
조용준 |
도도 |
2014 |
1 |
50 |
(임원경제지) 섬용지 :건축·도구·일용품 백과사전 .2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6 |
1 |
51 |
혼불 :대하소설 .1 흔들리는 바람 |
최명희 |
매안 |
2015 |
1 |
52 |
혼불 :대하소설 .2 흔들리는 바람 |
최명희 |
매안 |
2012 |
1 |
53 |
(임원경제지) 섬용지 :건축·도구·일용품 백과사전 .1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6 |
1 |
54 |
의궤 속 조선의 장인 .1 |
장경희 |
솔과학 |
2013 |
1 |
55 |
(임원경제지) 섬용지 :건축·도구·일용품 백과사전 .3 |
서유구 |
풍석문화재단 |
2017 |
1 |
56 |
나의 문화유산답사기 .5 다시 금강을 예찬하다 |
유홍준 |
창비 |
2013 |
1 |
57 |
나의 문화유산답사기 .7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|
유홍준 |
창비 |
2015 |
1 |
58 |
나의 문화유산답사기 .1 남도답사 일번지 |
유홍준 |
창비 |
2016 |
1 |
59 |
조선시대 궁중 패션 |
박가영 |
민속원 |
2017 |
1 |
60 |
나의 문화유산답사기 .10 서울편 2-유주학선 무주학불 |
유홍준 |
창비 |
2017 |
1 |
61 |
삼국지 .9 출사표, 드높아라 충신의 매운 얼이여 |
나관중 |
민음사 |
2015 |
1 |
62 |
나의 문화유산답사기 .9 서울편 1-만천명월 주인옹은 말한다 |
유홍준 |
창비 |
2017 |
1 |
63 |
삼국지 .10 오장원에 지는 별 |
나관중 |
민음사 |
2015 |
1 |
64 |
나에게 고맙다 :가장 흔한 말, 정작 나에게 하지 못한 인사 |
전승환 |
허밍버드 |
2016 |
1 |
65 |
말의 품격 :말과 사람과 품격에 대한 생각들 |
이기주 |
황소북스 |
2017 |
1 |
66 |
침묵의 봄 |
카슨, 레이첼 |
에코리브르 |
2011 |
1 |
67 |
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 |
정혜경 |
세창미디어 |
2017 |
1 |
68 |
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:한글 전래 동화 100년 |
이경희 |
국립한글박물관 |
2017 |
1 |
69 |
격례 :2016 전통공예 전승자 아카데미 =무형유산의 품격 |
국립무형유산원 |
국립무형유산원 |
2016 |
1 |
70 |
국립민속박물관 :소장품 도록 =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|
국립민속박물관 |
시공테크 |
2007 |
1 |
71 |
궁중궁중보자기 =wrapping cloth of the Joseon royal court |
국립고궁박물관 |
국립고궁박물관 |
2015 |
1 |
72 |
(동해안 화랭이 김석출) 오구굿 무가 사설집 |
김헌선 |
월인 |
2006 |
1 |
73 |
매혹하는 식물의 뇌 :식물의 지능과 감각의 비밀을 풀다 |
만쿠소, 스테파노 |
행성비 |
2016 |
1 |
74 |
모순 :양귀자 소설 |
양귀자 |
쓰다 |
2015 |
1 |
75 |
회사의 언어 :직장 언어 탐구 생활 |
김남인 |
어크로스 |
2016 |
1 |
76 |
흰 :한강 소설 =(The)elegy of whiteness |
한강 |
난다 |
2016 |
1 |
77 |
조선 궁궐의 그림 |
박정혜 |
돌베개 |
2012 |
1 |
78 |
(단원檀園) 김홍도 |
오주석 |
솔 |
2006 |
1 |
79 |
면천두견주 |
박덕훈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9 |
1 |
80 |
기지시줄다리기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7 |
1 |
81 |
전통의료 구술자료 집성 .1 대구 약령시 원로 한의약업인 6인의 의약업과 삶 |
박경용 |
景仁文化社 |
2011 |
1 |
82 |
우리나라 전통 무늬 .1 직물 =Korean traditional pattern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눌와 |
2009 |
1 |
83 |
사기장 = Saki Jang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1999 |
1 |
84 |
가사 |
문현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8 |
1 |
85 |
동래야류 |
김경남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0 |
1 |
86 |
동래야류 |
김경남 |
국립문화재연구소 |
2000 |
1 |
87 |
남사당놀이 |
심우성 |
화산문화 |
2000 |
1 |
88 |
채식주의자 :한강 연작소설 |
한강 |
창비 |
2007 |
1 |
89 |
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.1 =Karamazov brothers |
도스토예프스키 |
민음사 |
2015 |
1 |
90 |
(만화보다 재미있는)민화 이야기 |
정병모 |
열다 |
2014 |
1 |
91 |
꼭꼭 숨어라 |
양지안 |
한국셰익스피어 |
2015 |
1 |
92 |
세계지리를 보다 :이미지와 스토리텔링의 지리 여행 .3 아메리카·아프리카·오세아니아 |
박찬영 |
리베르스쿨 |
2012 |
1 |
93 |
궁궐의 우리 나무 |
박상진 |
눌와 |
2010 |
1 |
94 |
무형문화재의 탄생 |
정수진 |
역사비평사 |
2008 |
1 |
95 |
무형문화유산의 이해 :전승·보전 그리고 인벤토리 |
함한희 |
전북대학교 |
2012 |
1 |
96 |
주방문 |
이효지 |
교문사 |
2013 |
1 |
97 |
남해안 별신굿 |
김선풍 |
박이정 |
1997 |
1 |
98 |
한국 전통의료의 민속지 :원로 한약업사의 삶과 약업 생활문화 .1 |
박경용 |
경인문화사 |
2009 |
1 |
99 |
산업과 예술의 기로에서 :한국 근대 공예사론 |
최공호 |
미술문화 |
2008 |
1 |